- 모빌리티ICT사업본부는 대전, 세종, 충남의 지자체, 대학, 기업 및 연구소와 TP 등의 혁신기관이 협력하여 미래 모빌리티 ICT 분야의 지역 혁신을 위한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려 합니다.
- 이를 위하여 모빌리티 ICT 분야의 핵심 기술 영역인 자율주행, 스마트휴먼인터페이스, 차세대통신융합기술과 소프트웨어 및 인공지능 분야에서 기업의 직업 능력에 대한 수요를 바탕으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고 지역 기업으로의 취업을 유도하려 합니다. 또한 지역 기업의 인력들을 위한 맞춤형 재직자 교육을 통해 지역 기업의 발전을 위한 직원 역량 강화 교육과정을 운영합니다.
- 지역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는 건강한 기업이 많아져야 합니다. 이를 위하여 지역 기업과 선도 기술을 공동개발하고, 테크마스터의 기업지원을 통한 지역 기업의 애로기술 개발을 지원하며 대학과 연구소가 보유하고 있는 기술을 기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전 지원 사업 등을 추진하며 이를 통해 대전, 세종, 충남의 기업지원 생태계를 구축하고자 합니다.
-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여 지역 기업에 공급하고 지역 기업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다방면으로 지원하며 이를 통하여 지역 인재에 대한 수요를 창출함으로써 지역 발전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가는데 앞장서는 대전, 세종, 충남 지역혁신 플랫폼의 모빌리티ICT사업본부가 되겠습니다.
핵심분야 | 핵심산업 | 핵심산업 주요 기술 |
---|---|---|
모빌리티ICT | 자율주행시스템 | 자율주행플랫폼을 이용한 사람과 재화, 서비스의 이동을 지원하는 기술 |
스마트휴먼인터페이스 | 자율주행기술의 신뢰와 수용성을 지원하는 차량과 이용자 간 정보교류 기술 | |
차세대통신융합 | 커넥티드카를 위한 V2V, V2I및 V2P 통신시스템과 자율주행을 위한 센서 데이터들의 수집과 제어를 위한 차량 내 유무선 통신시스템 기술 | |
SW/AI | 커넥티드 자율주행서비스 제공을 위한 빅데이터/AI 학습용 클라우드, 실시간 또는 정해진 시간 내에 자율주행 요소기술을 수행할 수 있는 기반 시스템 관련 기술 |
사업 주요내용
- 사업 기간 : 2021. 6. 1. ~ 2026. 2. 28.
- 사업비 : 1,072억 원 (연간 214억)
- 참여기관 : 대학 24개 / 기업, 연구소 등 72개
- 핵심분야 과제 수 : 대과제 4개, 소과제 20개

기대효과
- 국가기술로드맵 및 지역특화기술로드맵을 실현할 수 있는 미래 모빌리티 ICT분야의 미래기술 대응 인력양성
- 모빌리티 ICT 선도산업 대전환을 위한 선도기술 확보
- 모빌리티 핵심기술 공동개발과 상용화 기반 구축
- 미래 모빌리티 공유서비스 창출을 통한 지역 '혁신생태계' 완성
- 다수의 스타트업 및 기술기반 기업의 활성화를 통한 지역산업 자립 기반 구축
주요업무
모빌리티ICT사업본부
본부장 충남대 안재민
본부장 충남대 안재민
주관기관협위원회
자체평가위원회
-
- 인재양성팀
- 사업지원팀
- 행정지원팀
-
-
자율주행시스템
사업단
단장 고려대 조충호 -
스마트휴먼인터페이스
사업단
단장 순천향대 우지영 -
차세대통신융합
사업단
단장 충남대 오왕록 -
SW/AI
사업단
단장 충남대 장경선
-
자율주행시스템
인재양성팀 |
|
---|---|
사업지원팀 |
|
행정지원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