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빌리티 소부장 사업본부에서는 대학, 기관, 기업의 협력체계를 마련하고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모빌리티 제조 산업을 미래형 모빌리티 산업으로 전환하기 위한 기술 고도화를 추진하여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DSC 공유대학 모빌리티 소부장 융합학부를 신설하여 지역 수요 맞춤형 인재를 공급하여 대전·세종·충남 지역의 모빌리티 소부장 사업 분야의 혁신을 주도하고자 합니다.

사업 주요내용
핵심분야 | 핵심산업 | As-is | 대과제 | 기대 효과 | |||
---|---|---|---|---|---|---|---|
지역혁신 인재 양성 | 기술경쟁력 강화 | 산업 전환 지원 | 창업 생태계 조성 | ||||
모빌리티 소부장 |
친환경 동력 |
|
|
|
|
|
|
지능형 전장제어 |
|
|
|
|
|
||
첨단센서 |
|
|
|
|
|
|
|
디스플레이-시스템반도체 |
|
|
|
|
|
기대효과
- 모빌리티 분야 혁신인재 1,500명/년 취업 및 지역 착근 30% 달성 등 청년 정주 환경구축을 통해 지역의 미래 모빌리티 기업에 핵심 인재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토대 마련
- DSC 공유대학 지역핵심인재 학사 취업체계 구축: 200명/년 (2025년 기준)
- 참여대학 학생의 지역 기업 취업체계 구축: 800명/년 (2025년 기준)
- 고용수급 불일치 해결을 위한 취업체계 구축: 500명/년 (2025년 기준)
- 학연산 고급 연구인력 양성체계 구축을 통한 석·박사급 100명, 산학연 공동연구를 통한 핵심기술 창출 120건, 특허와 기술이전 등을 포함한 기업 미래가치 창출 성과 50건 등을 달성하여 모빌리티 신산업 고도화 달성(2025년 기준)
- 기업의 산업전환 및 신사업 창출 지원체계 구축 150건, 산업체 재직자교육 (전직‧최신기술 향상)체계 구축 9,000명, 모빌리티 기업체 매출액 누적 25% (2021-2025년 성과) 달성 등의 성과를 창출하여 기업의 애로기술 지원 및 산업전환을 촉진할 계획임
- 2025년 기준으로 창업교육 체계 구축 2,500명, 핵심분야 관련 창업기업 육성 100개(누적) 등의 성과달성으로 창업생태계를 조성하여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 지역산업을 연계하여 다양성을 확대하고 개방적 혁신기반의 지역혁신 플랫폼사업을 통해 지역 여건과 수요를 반영하면 국토 균형발전을 이룩하고 세종공동캠퍼스와 메가시티를 연계하여 행정복합도시를 완성할 수 있음
- DSC 권역의 지역혁신플랫폼은 충북 지역혁신플랫폼과 협업을 통해 광역 혁신플랫폼으로 확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략은 지속 가능한 충청권 메가시티를 구축하는 초석이 될 것임


주요업무
모빌리티 소부장 사업본부
주관기관협의회
자체평가위원회
- 인재양성팀
- 사업지원팀
- 행정지원팀
구분 | 주요 업무 | |
---|---|---|
운영조직 | 인재양성팀 |
|
사업지원팀 |
|
|
행정지원팀 |
|
|
위원회 | 운영위원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