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모빌리티 소부장 사업본부

  • 모빌리티 소부장 사업본부에서는 대학, 기관, 기업의 협력체계를 마련하고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모빌리티 제조 산업을 미래형 모빌리티 산업으로 전환하기 위한 기술 고도화를 추진하여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DSC 공유대학 모빌리티 소부장 융합학부를 신설하여 지역 수요 맞춤형 인재를 공급하여 대전·세종·충남 지역의 모빌리티 소부장 사업 분야의 혁신을 주도하고자 합니다.
목표 : 모빌리티 소재 부품• 장비 분야의 글로벌 선도 지역경쟁력 강화
추진전략
산업전환기 대응 모빌리티 소부장 전공역량 강화 및 현장 맞춤형 인재 양성,
기술고도화를 통한 선도기술 유지,
소부장 취약 기업지원을 통한 미래 모빌리티 산업전환 지원,
모빌리티 소부장 창업생태계 구축,

대과제
지역혁신 인재양성,
기술경쟁력 강화,
산업전환 지원,
창업생태계 조성
사업 주요내용
주요업무의 구분 주요업무를 나타내는 표 입니다.
핵심분야 핵심산업 As-is 대과제 기대 효과
지역혁신 인재 양성 기술경쟁력 강화 산업 전환 지원 창업 생태계 조성
모빌리티
소부장
친환경
동력
  • 산업 변화에 따른 신교육과정 필요
  • 원천기술 개발 및 수입 부품 관련
  • 친환경 동력 소재 부품·장비 기획능력 및 시제품 개발 환경 취약
  • 창업기업 생존과 성장을 위한 체계적인 창원 지원제도 수립
  • 친환경동력 시스템 교육 공유 생태계 구축 및 교육 기반 시설 구축
  • 직무전환을 위한 나노학위 교육과정 운영
  • 친환경동력 시스템 관련 창업 지원을 위한 창업/기획교육 수행
  • 모빌리티산업 소재 원천기술 개발
  • 친환경자동차 관련 수입 부품/모듈의 국산화를 위한 기술개발
  • 수소전기자동차의 스택 및 수소저장탱크의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기술 개발
  • 친환경동력시스템 관련 기업의 애로기술 해결을 지원하고 시제품 제작지원을 위한 플랫폼 구축 및 운영
  • 기업의 애로기술 지원
  • 재직자 훈련
  • 예비/초기창업자 모집
  • 창업자 역량 강화 및 창업 가속화
  • 유망 예비/초기창업자 후속 성장 지원
  • 기술창업 기본교육
  • 교육 모델과 플랫폼의 타산업 분야로 확산 및 타산업인력 양성 촉진
지능형
전장제어
  •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 개발과 구축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 필요
  • 연구 중심 스타트업 기술 기반 생태계 구축 및 산업체 기술 고도화 필요
  • 스마트 전장 모듈개발 신뢰성 평가 및 기획 지원 필요
  • 지속 가능한 교육을 위해 Cyber Physical 교육 플랫폼 구축과 콘텐츠 개발
  •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과 스마트 모빌리티 인재 양성 특화 교육
  • 미래형 모빌리티의 전동화와 자율주행화 기술 고도화
  • 기능 안전성 개념을 적용한 지능형 전장품 신뢰성 평가 기술
  • 강화 학습 기반을 위한 데이터 공유 기법 확보
  • 지능형전장제어시스템 산학연관 네트워크 교류
  • 기업과 대학-연구소 전문가 매칭을 통한 기술 지원
  • 연구개발·실용화 플랫폼과의 연계를 위한 선순환 체계 구축
첨단센서
  • 산업 규모에 비해 인력 부족으로 기술력 확보 취약
  • 첨단센서 융합 디바이스 필요
  • 센서 관련 기업의 체질 개선 및 공용 인프라 구축 필요
  • 첨단센서 융합관련 스타트업 창업을 위한 교육 부재
  • 융합 디바이스 부품·장비 인재양성 특화 교육 개발
  • 글로컬 현장 실무능력 겸비한 현장 수요 맞춤형 융·복합기술 전문 창의인력 양성
  • 현장 맞춤형 전문인력 양성 교육 프로그램 운영
  • 융합 디바이스 원천기술 개발 및 기업 맞춤형 응용기술 개발
  •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 과제 발굴
  • 센서 응용기술 연구센터 구축
  • 기술개발 지원에 필요한 테스트 환경지원을 위한 플랫폼 구축 및 운영
  • 첨단센서 관련 신뢰성 평가 지원플랫폼 구축
  • 기업의 애로기술 해결 및 전문가 매칭
  • 기업 및 전문가 Pool 구성
  • 융합 교육센터 연계 기술 창업 및 마케팅, 회계 교육 실시
  • 디바이스 연구센터 연계 기술창업 지원
  • 기술창업 지원 기능강화를 위한 종합적인 멘토링 프로세서 구축 및 운영
  • 수준 높은 연구성과 창출을 통해 국가 R&D 경쟁력 강화
디스플레이-시스템반도체
  • 산업 재편에 따른 기술개발/인력양성의 필요성 증대
  • 세계 시장 선도기술력의 선도적 위치 유지 필요
  • 차세대 디스플레이/시스템반도체 관련기업 지원 플랫폼이 필요
  • 재학생/재작자 및 미취업자 교육을 위한 플랫폼 구축
  • 설비 제어 및 운영을 위한 신규 인력 양성
  • 공통 공정/장비기술 및 실습 교육 프로그램
  • 박막형성 장비 국산화 기술 개발
  • 차세대 디스플레이 부품·장비의 특성평가와 국산화 지원
  • 차세대 디스플레이-반도체 소재/부품 원천 기술 개발
  • 스트레처블, 센서 융·복합/센서 디스플레이/반도체 기술개발 기업 지원
  • 디스플레이/시스템 반도체 및 스마트 윈도우 기술개발 기업 지원
  • 지자체-대학-산업체 간 컨소시엄 구성을 통해 신속 결정 체계 구성
기대효과
  • 모빌리티 분야 혁신인재 1,500명/년 취업 및 지역 착근 30% 달성 등 청년 정주 환경구축을 통해 지역의 미래 모빌리티 기업에 핵심 인재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토대 마련
    • DSC 공유대학 지역핵심인재 학사 취업체계 구축: 200명/년 (2025년 기준)
    • 참여대학 학생의 지역 기업 취업체계 구축: 800명/년 (2025년 기준)
    • 고용수급 불일치 해결을 위한 취업체계 구축: 500명/년 (2025년 기준)
  • 학연산 고급 연구인력 양성체계 구축을 통한 석·박사급 100명, 산학연 공동연구를 통한 핵심기술 창출 120건, 특허와 기술이전 등을 포함한 기업 미래가치 창출 성과 50건 등을 달성하여 모빌리티 신산업 고도화 달성(2025년 기준)
  • 기업의 산업전환 및 신사업 창출 지원체계 구축 150건, 산업체 재직자교육 (전직‧최신기술 향상)체계 구축 9,000명, 모빌리티 기업체 매출액 누적 25% (2021-2025년 성과) 달성 등의 성과를 창출하여 기업의 애로기술 지원 및 산업전환을 촉진할 계획임
  • 2025년 기준으로 창업교육 체계 구축 2,500명, 핵심분야 관련 창업기업 육성 100개(누적) 등의 성과달성으로 창업생태계를 조성하여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 지역산업을 연계하여 다양성을 확대하고 개방적 혁신기반의 지역혁신 플랫폼사업을 통해 지역 여건과 수요를 반영하면 국토 균형발전을 이룩하고 세종공동캠퍼스와 메가시티를 연계하여 행정복합도시를 완성할 수 있음
  • DSC 권역의 지역혁신플랫폼은 충북 지역혁신플랫폼과 협업을 통해 광역 혁신플랫폼으로 확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략은 지속 가능한 충청권 메가시티를 구축하는 초석이 될 것임
DSC지역혁신플랫폼 이미지 DSC지역혁신플랫폼 이미지
주요업무
모빌리티 소부장 사업본부
주관기관협의회
자체평가위원회
  • 인재양성팀
  • 사업지원팀
  • 행정지원팀
주요업무의 구분 주요업무를 나타내는 표 입니다.
구분 주요 업무
운영조직 인재양성팀
  • 대전·세종·충남 대학의 교육기반 마련 인재양성 프로그램 운영
  • 지역 모빌리티 핵심분야 지역혁신기관 간 정보공유 지원
  • DSC 공유대학 교육체계 구축
  • 교육혁신 방안 추진 현황 점검 및 관리 계획
사업지원팀
  • 모빌리티 소부장 분야 R&D/기업/창업지원
  • 모빌리티 소부장 분야 기술고도화 지원
  • 산업지원 교육 및 연구사업 운영, 성과관리 및 점검
행정지원팀
  • 사업본부 행정 업무 총괄
  • 사업본부 규정·지침 관리
  • 사업본부 인력관리 및 인사
  • 사업본부 예·결산 및 회계 총괄
  • 사업본부 운영지원 및 기록물 관리
위원회 운영위원회
  • 핵심분야 별 소협의회 구성 및 운영
  • 핵심분야 사업 운영에 관한 사항을 심의·조정
  • 핵심분야 성과 창출 제언 및 산업혁신정책 추진
  • 핵심분야 사업 연구, 조직·운영 등 전반에 대한 점검·분석·평가
  • 핵심분야 사업의 성과 전반에 대한 개선 및 환류